매달 나가는 건강보험료, 지역가입자라면 주목! 보험료 계산부터 최저 납부 금액까지 쉽게 알아보기

매달 꼬박꼬박 납부해야 하는 건강보험료, 특히 직장에 다니지 않는 지역가입자라면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에도 보험료가 부과되어 부담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2024년부터 건강보험료 기준이 일부 변경되어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실 텐데요. 혹시 나에게도 영향이 있을까? 오늘 함께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의 모든 것을 파헤쳐 보고, 달라진 최저 납부 금액까지 꼼꼼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건강보험료-최저-납부-금액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어떻게 계산될까요?

직장 가입자와 달리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소득재산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득월액: 한 해 동안의 소득을 12개월로 나눈 금액을 기준으로 점수를 매깁니다.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이 포함됩니다.
  2. 재산점수: 주택, 토지, 건물, 전월세 보증금, 심지어 자동차까지! 보유한 재산을 점수로 환산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소득 점수재산 점수를 합산한 후, 2024년 기준 점수당 금액인 208.4원을 곱하면 월 건강보험료가 됩니다. 소득이 비슷하더라도 어떤 재산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건강보험료 최저 납부 금액은 얼마일까요?

소득이나 재산이 적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건강보험료는 납부해야 합니다. 2024년 기준으로 소득월액에 따른 최저 보험료는 월 19,780원입니다. 여기에 노인장기요양보험료(건강보험료의 12.95%)가 추가되면 실제로 매달 납부해야 하는 최소 금액은 약 22,340원 정도가 됩니다.

건강보험료-최저-납부-금액-1

여기서 주목해야 할 중요한 변화! 과거에는 연 소득 100만 원 미만의 저소득층만 최저 보험료를 적용받았지만, 2022년 9월부터 연 소득 366만 원 이하인 세대까지 그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더 많은 지역가입자분들이 보험료 부담을 덜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혹시 나도 해당될까? 지금 바로 소득 기준을 확인해 보세요.

최저 보험료 왜 오르고 직장 가입자와 같아졌을까요?

최저 보험료 대상이 넓어진 것은 반가운 소식이지만, 최저 보험료 금액 자체가 인상된 점도 눈여겨볼 부분입니다. 2022년 기준 14,650원에서 현재 소득월액 최저 19,780원으로 오른 것인데요. 흥미로운 점은 이 금액이 직장가입자의 최저 보험료와 동일해졌다는 점입니다. 그동안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 간의 보험료 부과 방식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어 왔는데, 이번 변화를 통해 이러한 불만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의 연 소득이 366만 원 이하이고, 재산 기준 등 다른 조건에 해당한다면, 소득월액 보험료 최소 금액인 19,780원에 장기요양보험료를 더한 금액만 납부하게 됩니다. 꽤 많은 분들이 이 기준에 해당될 수 있으니 꼭 한번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보험료 납부 편리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매달 납부해야 하는 건강보험료, 조금이라도 더 편리하게 납부하고 싶으시죠? 다양한 납부 방법 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을 선택해 보세요.

납부 방법특징수수료개인적 추천
자동이체매월 지정된 날짜에 은행 계좌 또는 신용카드로 자동 출금, 편리함없음깜빡할 염려 없이 가장 마음 편하게 납부하는 방법!
인터넷/모바일 납부국민건강보험공단 앱/홈페이지, 금융 앱 등에서 직접 납부없음 (계좌이체 시)언제든 확인하고 바로 납부할 수 있어 편리해요!
신용카드카드사 홈페이지/앱 또는 공단을 통해 납부 가능0.8% 발생 (체크카드 0.5%)포인트 적립이나 카드 실적을 채울 때 가끔 활용해요.
은행/편의점 납부고지서를 지참하여 은행 또는 편의점 방문 후 납부없음직접 납부하는 것을 선호하거나, 고지서 확인 후 바로 내고 싶을 때 좋아요.

주의할 점! 신용카드로 납부할 경우 소액의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따라서 자동이체나 인터넷 계좌이체를 주로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신용카드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건강보험료는 우리 사회의 든든한 안전망 역할을 하지만, 매달 납부해야 하는 지역가입자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부터 변경된 최저 보험료 기준은 꼼꼼히 확인하여 불필요한 지출을 막고,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보험료-최저-납부-금액-1

혹시 건강보험료 계산이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의 ‘보험료 모의계산’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 예상 보험료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더 정확한 내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직접 문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저는 지금 소득이 전혀 없는데, 그래도 건강보험료를 내야 하나요?

네, 지역가입자는 소득이 없더라도 보유한 재산(집, 자동차 등)이 있다면 그 재산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 다만, 소득과 재산이 모두 일정 기준 이하라면 최저보험료만 납부하게 될 수도 있으니, 정확한 내용은 공단에 문의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Q. 최저보험료 대상이 확대되었다는데, 저도 해당되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연 소득이 366만원 이하인지 여부입니다. 만약 이 기준에 해당하면서 재산 기준도 충족한다면 최저보험료 적용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요. 매달 받는 건강보험료 고지서에도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가장 확실한 방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나 고객센터(1577-1000)를 통해 확인하는 것입니다.

Q. 신용카드로 내면 수수료가 붙는다는데, 그럼 어떤 방법으로 내는 게 가장 좋을까요?

수수료 없이 가장 편리하게 납부하는 방법은 역시 자동이체를 신청하는 거예요. 한번 신청해두면 매달 신경 쓰지 않아도 알아서 납부되니까 연체 걱정도 덜 수 있죠.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 앱을 통한 계좌이체 방식도 수수료가 없으니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생활 패턴에 맞춰 가장 편한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