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한숨부터 나오는 분들 많으시죠? 하지만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를 잘 활용하면 ’13월의 월급’을 넘어 든든한 노후까지 준비할 수 있습니다. IRP 계좌가 연말정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절세 혜택을 극대화하는 방법까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IRP와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는 어떻게 될까요?
많은 분들이 IRP와 연금저축을 합쳐 세액공제를 받는다는 사실을 알고 계실 텐데요. 공제 한도는 연령과 총급여에 따라 달라집니다.
-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납입액의 16.5%를 공제받습니다.
-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납입액의 13.2%를 공제받습니다.
여기에 연령에 따라 납입 한도가 달라집니다.
연령 구분 | 연간 세액공제 납입 한도 (합산) | 연금저축 한도 | IRP 한도 |
50세 이하 | 700만 원 | 400만 원 | 300만 원 |
51세 이상 | 900만 원 | 600만 원 | 300만 원 |
만약 50세 이하 직장인이 세액공제 한도인 700만 원을 모두 채운다면, 총급여에 따라 최소 92만 4천 원(700만 원의 13.2%)에서 최대 115만 5천 원(700만 원의 16.5%)의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ISA 만기 자금 IRP로 옮기면 추가 공제 혜택이?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만기가 다가온다면 주목하세요! ISA 만기 자금을 IRP 또는 연금저축 계좌로 옮기면 추가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ISA 만기 자금의 10%, 최대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한도가 추가되는데요. 만약 ISA 만기 자금 3,000만 원을 IRP 계좌로 옮기면 300만 원의 추가 공제 한도가 생기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 세액공제 한도가 최대 1,200만 원까지 늘어날 수 있어 환급받는 금액이 훨씬 커집니다.
IRP 계좌 관리하는 팁
- 자신의 소득과 나이 확인: 위에서 설명한 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조건에 맞는 납입 한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모바일 앱 적극 활용: 요즘 대부분의 증권사나 은행 앱에서는 IRP 계좌 납입금액, 예상 환급금액을 한눈에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절세’ 탭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하고, 추가 납입까지 바로 실행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연금저축과 함께 활용: IRP 계좌는 연금저축과 함께 세액공제 한도를 채울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연금저축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하고, IRP는 퇴직금과 연계되어 안정적인 노후 자금 마련에 유리하니 두 계좌의 장점을 적절히 활용해 보세요.
IRP 계좌는 단순히 세금을 돌려받는 것을 넘어, 미래의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든든한 투자입니다. 지금부터라도 꾸준히 IRP 계좌를 관리하며 절세 혜택과 노후 준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보는 건 어떨까요?
자주 묻는 질문
IRP 계좌는 직장인만 가입할 수 있나요?
아니요, 개인사업자분들도 가능해요.
세액공제는 최대 얼마까지 환급받을 수 있을까요?
약 198만 원까지 절세 가능해요.
ISA 만기 금액은 꼭 IRP로 옮겨야 이득인가요?
추가 공제 혜택이 있어 옮기면 좋아요.